당근도, 젊은 엔지니어도 실종 중인 ENG산업, 결국엔 미래도 '실종'
상태바
당근도, 젊은 엔지니어도 실종 중인 ENG산업, 결국엔 미래도 '실종'
  • 이명주 기자
  • 승인 2024.07.04 03:02
  • 댓글 4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젊은 엔지니어 유입을 위한 엔지니어링업계의 노력이 성과를 도출해야 할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3일 E&E포럼은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설계-엔지니어링산업 발전과 건설기술인 권익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제안이라는 주제로 제 4차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현주소와 해결해야 할 과제 등을 되짚어 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주제발표에서는 이상호 E&E포럼 운영위원장이 엔지니어링 산업 5대 과제와 22대 국회정책과제 제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상호 운영위원장은 "시공 중심 건설산업구조, 불합리한 대가체계와 낮은 임금 수준, 낮은 수익성과 저부가가치, 고령화와 신규 유입부족, 낮은 워라밸 수준 등 5가지 요소가 건설 엔지니어링 분야의 성장을 저해하는 동시에 신규 인력 유입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특히, 낮은 대가기준과 적정공기 미반영은 엔지니어들에 대한 낮은 임금과 워라밸에 대한 문제점을 야기시켜 젊은 엔지니어들이 건설엔지니링 산업을 기피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회-정부-엔지니어링 업계를 이을 수 있는 실질적인 기구를 만들어 지속성 있는 성과를 도출 할 수 있도록 내부적인 노력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가 신입 엔지니어 유입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자격 기준이 장애물을 만들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패널토론에 참석한 김시격 다산컨설턴트 사장은 "현재 현장에서는 초급기술자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나 자격증이 없는 초급기술자의 경우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없는 구조이다"며 "문제는 자격증 여부가 진입 장벽 역할을 하면서 건설엔지니어링 분야에 대해 관심이 낮은 젊은 기술자들의 진입율을 더욱 낮추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치권 및 정부가 나서 이에 대한 제도개선 노력을 보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발주처의 갑질에 가까운 일방적인 공기 설정이 건설산업 종사자의 워라밸을 깨뜨리는 원인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승헌 연세대 교수는 "현재 국내 사업들의 경우 공사기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이에 발주처가 공기 단축 등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며 "문제는 건설관련 업체들이 이를 맞추기 위해 엔지니어들의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계약당시부터 이에 대한 문제점을 명문화해 발주처가 무리한 요구를 할 수 없게 해야만 잘못된 처우 문제를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 "이와 같은 문제를 건설분야 내부에서만 외칠 것이 아니라 정치권-정부 등과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일반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만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ㅇㅇ 2024-07-09 08:07:42
옛날엔 그냥 묵묵히 다녔지만 이젠 시대가 변한거임
지자체 주무관한테도 갑질 당하고, 시행사한테도 갑질 당하고, 상사한테도 갑질 당하는데
그리고 참여기술인 명단이라는거 자체부터 어불성설임
실제 일하는 애들은 실무기술인의 대리과장급이 전부인데,
걔네들은 실적 얼마 못받고, 오히려 일하지도 않는 뒷방늙은이들이 제일 실적 챙겨가는게 말이되냐ㅋㅋㅋ
한국은 제발 해외 선진사례를 좀 채택할 필요가 있음
언제까지 사책 PQ 인력 제도로 할건데??

어이구 2024-07-04 08:45:53
자격 없는 사람도 일하게 만드는게 제도개선이냐? 그냥 솔직하게 젊은 노예 구하기 여렵다고 말하지

엔지 2024-07-09 08:03:31
비상근 노인네들이 꿀빠는데 당연히 누가 들어오겠어
점수 만점만들려고 비상근만 잔뜩 뽑아대니 실무직원들 월급은 안오르고
전관들 노인들 챙겨주느라 돈은 돈대로 쓰고
결국 내놓는게 개나소나 할 수 있는 업무를 만드는건가
2~3년짜리 과업을 몇개씩 하고 있으니 발주처가 하라는대로 수동적으로 일 할 수 밖에 없고
전문성은 계속 떨어져만 가고 뭐가 나아지냐

설계만15년째 2024-07-04 16:53:19
발주처에 갑질에 가까운 공기설정??? 으로 워라밸이 깨져??ㅋ 수주많이해서 직원들이 감당하기 힘들면 외주주면 되는데 돈한푼 아끼려고 안주고 일없을때 퇴근하려고하면 야근안하면 일없고 능력없다 생각하는 늙은이들의 인식이 문제지 ㅋ

엔지니어 2024-07-04 11:52:40
오너들이 엔지니어링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업종으로 만들어서 월급도 제자리 걸음. 자존감도 떨어지고. 엔지니어링을 전문직으로 만들어야지. 실제로 사람들의 생명을 책임지는 사람들인데 전문직이어야 하고.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