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ure 및 정부 지원방식이 관건
불황을 겪고 있는 플랜트 엔지니어링업체들의 해외진출을 통한 해법을 찾기 위해 정부예산 보다는 민간자본 참여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양대학교 정의종 교수는 29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제 3회 플랜트산업 성장포럼>에서 <플랜트산업 고도화를 위한 전략분석 및 제언>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발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정의종 교수는 플랜트산업 육성을 위해 인력 및 자금, 정책 등 소프웨어적인 부분의 선진화와 동반적으로 성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재 제 3 세계 시장의 경우 민자방식의 사업 발주방식이 늘고 있는 반면 국내 관련업체들의 자본 확보능력과 정부 및 공기업의 자금 지원에는 한계가 있어 민간자본 참여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정의종 교수는 "현재 제 3 세계 시장의 경우 자기자본 부담이 적은 민자방식으로 프로젝트가 대부분 발주되고 있다. 하지만 점점 규모가 커지고 있어 국내 관련기업들이 단독으로 자금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무역보험공사와 같은 공적 자금으로 감당하는 것 또한 점차 한계에 부딪치고 있는 상황이다"며 "이에 앞으로 정부 및 관련업체들은 민간자본에 대해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현재 제 1 금융권이 아닌 생보사와 같은 제 2, 3 금융권의 경우 대략 40~50조원 이상의 자금이 시장에 유동적으로 돌아다니고 있다. 이에 관련업계에서는 이들이 운용하고 있는 연기금을 약 10~15년 이상으로 장기 대출을 받아을 수 있다면 관련업체들은 적재적시에 자금을 융통받을 수 있으며 K-Sure 및 정부는 자본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하지만 연기금 등의 참여방식이 성공하기 위해서 K-Sure 및 정부의 역할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정교수는 "민간자금이 공적자금에 비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중견건설사들의 PF(Project Financing)선례와 같이 불확실성이 크다면 참여를 꺼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며 "이에 K-Sure와 정부는 직접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 대신 연기금과 SPC사의 중간에서 강력하게 보증을 서는 방식으로 전환한다면 민간자본의 신뢰도와 시장참여를 동시에 높이는 것은 물론 자본부담까지 줄이는 일석삼조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