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 해외시장서 무용지물… 자격증보다 현장경쟁력이 甲
상태바
기술사, 해외시장서 무용지물… 자격증보다 현장경쟁력이 甲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5.07.14 09:48
  • 댓글 2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2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컨설턴트M 2015-07-27 18:17:35
PQ제도가 기술사를 네버다이로 만들고 있군. 엔지니어는 기술을 파는거지 자격을 파는게 아니라네~

용역쟁이 2015-07-27 12:34:04
엔지니어한//어느 회사에서 젊은 나이에 업무를 안하고 기술사공부만 할수 있는지...그리고 실무를 모르는 사람이 회사에 붙어있는것도 신기하군요... 고개를 숙이는 기술사라....기술사 없는 인정기술자들이 더 그런건 아닌지?....기술사가 챙기는 기득권은 뭐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엔지니어한 2015-07-26 18:56:45
3. 기술사 단체 여러분. 여러분의 기득권만 챙기는 것으로 보여지는 건 왜 일까요?, 정말 기술사가 꿈이 되는 그런 사회가 되도록 목소리를 내 주시면 주위에서 살아남기 위해 밤늦게 퇴근하여 기술사 책을 펴고 있는 후배들에게 힘이 될 겁니다. 안되도 노력은 할 수 있잖아요.

엔지니어한 2015-07-26 18:52:10
2. 기술자들의 꿈이 되는 기술사가 아니라 영욕을 위해(요즘에는 살아남기 위해) 야근시간을 쪼개서 공부하는 옆의 동료들을 보면 씁쓸합니다. 기술사가 되어서는 정말 기술력의 핵심이 되서 리더로서 존경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갑과 을중의 갑에게 고개를 숙이는 기술사라.....기술사의 의견이나 주장이 영향력이 전혀 없고, 그냥 단지 기술사라는 자격증과 책임만 있는 기술사.. 이게 우리의 현실입니다.

엔지니어한 2015-07-26 18:44:37
1. 저는 기술사제도에 대해서 회의적입니다. 많은 프로젝트를 야근, 철야를 하며 수행했지만, 어느날 갑자기 실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기술사에 합격해 기술사랍시고 많은 경험을 가진 선배들을 누를때는...기가 막혀서 기술사 시험문제를 봤지만, 많은 부분이 정말 교수들이 내거나 현실과 안맞는 문제들 이였다는 것입니다. 암기력 좋은 젊은 사람들이 죽어라 공부하면 가능하다고 하더군요.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