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R&D 예산 11.8% 증액… 건설ENG 지원
상태바
내년 R&D 예산 11.8% 증액… 건설ENG 지원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4.12.17 2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난․재해 대비 유지관리 및 안전기술 투자 확대
“엔지니어링 경쟁력 강화하고, 해외시장진출 지원할 것”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준희 기자 = 국토교통부가 시설물 안전사고 예방, 건설엔지니어링 경쟁력 강화,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을 이루기 위해 내년도 건설 R&D 예산을 올해보다 11.8% 증액 배정했다.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내년도 건설 R&D예산을 올해 481억7,500만원에서 538억 7천4백만원으로 확대 편성해 ‘시설물 유지관리 및 건설안전 기술’ 분야 등 총 24개 연구과제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관계자는 “최근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 시설물 붕괴사고 등 각종 재해․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다”며, “국내 엔지니어링 업체의 경쟁력 강화와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도심지 개발로 인한 싱크홀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심지 특성을 고려한 터파기․지반굴착기술, 지하수위 계측․모니터링 기술 개발이 신규로 착수될 전망이다.

도심지 토사재해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도시 기능을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도심지 토사재해 예측․평가 및 통합관리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태풍, 호우 등으로 인한 수변지역 시설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안전도, 피해현황, 피해복구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안전관리기술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노동·자본 집약적인 시공 위주의 건설 산업 구조를 탈피하고 고부가가치 설계엔지니어링 산업으로 육성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하기 방안도 추진된다. 특히, 기획, 파이낸싱, 사업관리, 커뮤니케이션 등 종합적인 역량을 갖춘 엔지니어링 전문 인력을 본격 양성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계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해외 거점별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해외 발주동향, 현지 기준․법령 및 리스크 정보 등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외, 탄소저감형 콘크리트 등 친환경 재료분야 원천기술, 공사비 절감을 위한 시공자동화 기술, 초장대 해저터널, 복층터널 등 해외시장 선점을 위한 특수구조물 구축 기술 연구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한편, 국토부 측은 올해 해외 수입에 의존해 오던 기술에 대한 국산화․자립화에 투자한 바 있다. 현수교 케이블 가설공법․장비 AS/PPWS의 국산화에 성공해 이순신대교, 울산대교 등 다수의 국내 교량현장에 적용했다. 국내 현장적용 실적을 바탕으로 내년 이후 터키 보스포러스 3교에 적용할 예정이다. 

                               <2015년 건설기술연구사업 투자계획안>              [단위: 백만원]

사업/분야/과제명

주관

연구기관

최초협약

최종협약

연구비

’12

’13

’14

’15

’16

’17~

비고

건설기술연구사업

 

 

 

 

56,349 

36,413

48,175

53,874

79,462

79,326

[수행체계] 연구내용

ㅇ설계엔지니어링 및 글로벌 표준화 기술

 

 

 

 

2,831

2,567

3,196

4,772

6,036

2,100

 

1.[계속] 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1 (舊, 건설인력양성 마스터플랜 수립 및 해외 설계기술 고급인력 양성)

서울시립대학교

’13.12

’16.9

2,200

- 

250

500

750

700

 

[일반] 건설엔지니어링의 글로벌화를 위한 우수 건설기술자 양성기반 마련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중장기적 인력양성 체계 구축

2.[계속] 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2 (舊, 건설인력양성 마스터플랜 수립 및 해외 설계기술 고급인력 양성)

중앙

대학교

’13.12

’16.9

2,200

- 

250

500

750

700

- 

[일반] 건설엔지니어링의 글로벌화를 위한 우수 건설기술자 양성기반 마련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중장기적 인력양성 체계 구축

3.[계속] 해외 거점별 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 개발 (舊, 해외 지역별 건설기술정보시스템 구축)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

’14.7

’18.5

6,100

- 

- 

500

1,500

2,000

2,100

[일반] 건설엔지니어링 업계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을 해외 거점별로 구축(해외 거점별 건설 엔지니어링 현지 환경 정보 DB 개발, 해외 거점별 도로 및 수자원 인프라 분야 설계 기반 콘텐츠 개발 등)

4.[계속] SOC시설물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LCA(Life Cycle Assessment) 기반 의사 결정시스템 개발 (舊, 환경부하 저감형 LCA(Life Cycle Assessment) 기반 설계 및 시공기술 개발)

중앙

대학교

산학

협력단

’14.10

’16.10

3,400

- 

- 

300

464

2,636

- 

[일반] SOC 건설 사업의 기획 및 설계 초기단계에서 상세설계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다양한 설계 대안에 대한 환경부하량을 신속히 평가하고, 환경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5.[종료] 국제공동 대륙지각시추를 위한 기반 구축 연구

한국

지질자원연구원

’11.7

’15.7

1,561

312

312

313

313

- 

- 

[일반] 한반도 영역에 ICDP(International Continental scientific Drilling Program) 과학시추 추진 및 국내 과학시추연구 수준을 국제수준으로 고양(국제수준의 전문가 양성)

6.[종료] 건설공사 설계 시공기준 표준화 연구 (도로 및 수자원 시설분야)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3.12

’15.7

2,995

- 

1,000

1,000

995

- 

- 

[일반] 기존의 국내 설계기준 및 표준시방서(도로, 하천, 댐, 구조, 지반 등 6개 중점분야)를 새로운 “건설기준 코드체계”에 적합하도록 도로 및 수자원 시설분야에 대한 통합코드 체계 구축

ㅇ건설재료 개발 및 활용 기술

 

 

 

 

12,706

6,555

13,798

13,084

11,110

14,649

 

7.[신규] 자기 손상감지 및 자가치유 시멘트 복합체의 개발 및 활용

-

’15

’19

16,000

- 

- 

- 

750

4,250

11,000

[연구단] 유-무기계 혼합재 활용 자기치유 요소기술, 캡슐 활용 자기치유 요소기술 및 균열 자기치유 콘크리트 개발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하이테크 자기치유 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콘크리트 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 및 시공‧유지관리 비용 최소화

8.[계속] 압축강도 80∼180MPa급 맞춤형 SUPER 콘크리트 재료 및 구조물 기술 개발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3.12

’17.6

24,960

- 

4,000

6,300

4,151

6,860

3,649

[연구단] 80MPa∼180MPa급 맞춤형 SUPER Concrete의 제조기술 및 재료모델·지침 개발 등 첨단 콘크리트 재료 및 구조물 핵심 설계‧제작‧시공 기술의 융‧복합을 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콘크리트 구조물 건설기술 개발

9.[종료] 탄소저감형 콘크리트 구조재료 및 에너지 절감형 건축재료․자재 개발 (舊, 탄소저감형 건설 재료 기술개발)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1.11

’15.7

13,511

1,886

4,500

3,898

2,812

- 

- 

[연구단] 탄소저감형 건설 재료 실용화를 통한 건설재료 산업의 CO2 배출저감 및 건설재료의 CO2 통합관리 기술개발에 의한 탄소저감형 건설재료 활용기반 구축

10.[종료] 건설폐기물 및 산업부산물에 액상촉진탄산화 기술을 적용한 pH 저감형 건설자재 개발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13.6

’15.6

2,410

- 

480

1,000

930

- 

- 

[일반] 건설폐기물 및 산업부산물 등에 CO2 반응처리를 통한 CO2 저장과 동시에 개질 후 건설자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

11.[종료] 1개월 미만 단축 또는 2년 이상 연장 가능한 생분해 시간제어형 건설자재 개발

(주)웹스

’13.6

’15.6

1,495

- 

275

500

720

- 

- 

[일반] 건설재료의 바이오기술 융합을 통한 신개념 친환경 건설자재 개발 및 실용화(생분해 시간 제어 가능)

12.[종료] 방호․ 방폭용 고성능 섬유보강시멘트 복합재료 및 성능평가 기술 개발 (舊, 방호 또는 방폭 구조물용 고성능 섬유보강복합재료의 개발)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3.11

’15.7

7,121

- 

1,300

2,100

3,721

- 

- 

[연구단] 충격 및 폭발과 같은 중대사고로 인한 재난 발생 시 국민의 안전과 사회기반 시설물, 건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호·방폭용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HPFRCC)의 개발 및 평가기술 기반 구축

ㅇ시공자동화/효율화 및 특수구조물 구축 기술

 

 

 

 

37,305

21,791

21,209

18,604

35,377

34,819

 

13.[신규] 경제적인 도심지 소단면 터널식 공동구 설계/시공기술 개발

-

’15

’19

20,000

- 

- 

- 

500

5,000

14,500

[연구단] 민원저감형 경제적 도심지 소단면(Φ3.5m 이하) 터널식 공동구 건설을 위한 글로벌 표준화 설계기법(LRFD /LCC), 방재안전관리시스템, 급속/모듈화 시공기술 및 장비 개발

14.[계속] ICT기반 교량 수명연장을 위한 부분교체 및 저탄소 소재 활용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13.6

’17.6

21,920

- 

1,300

4,019

3,967

9,727

2,907

[연구단] 교량의 부분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지능형 급속시공 기술 개발을 통한 100년 수명 보장 및 공기 단축 등 설계수명 100년 확보, 탄소배출량 30% 절감, 생애주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교량의 설계, 제작, 시공 및 ICT 기술개발

15.[계속] 고수압 초장대 해저터널 기술자립을 위한 핵심요소 기술 개발

고려

대학교 산학

협력단

’13.6

’17.6

28,512

- 

1,797

5,400

5,367

9,659

6,289

[연구단] 대륙간, 도서간, 연육간을 연결하는 고수압(최대 20bar), 초장대(연장 50km 이상) 해저터널 건설에 필요한 조사, 설계․시공, 방재 및 유지관리 등 핵심기술 개발

16.[계속] ICT를 활용한 건설장비 관제 및 스마트 시공 기술 개발 (舊, 탄소저감형 건설장비 운영기반 스마트 시공시스템 개발)

한양

대학교 산학

협력단

’14.7

’16.7

8,850

- 

- 

400

2,667

5,783

- 

[연구단] ICT, 안전, 에너지 효율 기술을 건설 장비와 토공사에 접목, 다수·다종의 건설장비가 투입되는 대규모 복합 프로젝트에서 건설장비 통합 관제센터 및 가이드 기술 시스템화를 통한 건설장비의 운영 효율화, 안전, 시공 품질,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 기술 개발

17.[계속] 대심도 복층터널 설계 및 시공 기술 개발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4.12

’18.6

20,400

-

-

500

3,569

5,208

11,123

[연구단] 도심지 지하공간 활용 극대화를 통해 교통정체 해소 및 환경개선이 가능한 신형식 복층터널 구축 기술 개발

18.[종료] 초장대교량 사업단

한국

도로공사

’08.12

’15.3

63,033

11,468

10,000

4,518

2,534

- 

- 

[사업단] 세계 최고수준의 친환경성, 경제성 및 기술 경쟁력을 갖춘 장경간 케이블교량 자립건설 기술개발

ㅇ재난·재해 대비 시설물 유지관리 및 재해안전 기술

 

 

 

 

3,507

5,500

9,972

17,414

26,939

27,758

 

19.[신규] 안전한 지반굴착기술 개발

-

’15

’19

15,000

- 

- 

- 

1,000

3,000

11,000

[연구단] 도심지 지중매설물 특성을 고려한 터파기 기술, 고밀도 도심지 구간 굴착 기술 등 도심지 지반안전 영향 최소화 개착식 지반굴착 기술 개발

20.[신규] 지하수 및 지반구조영향 계측 기술 개발

-

’15

’19

20,000

- 

- 

- 

1,000

5,000

14,000

[연구단] 도심지 광역적 지하연계 지반구조 파악 기법, 도심지 지하수위 계측 및 모니터링 기술, 재해대응 3차원 지하수 분포도 제작기법 등 도심지 광역 지하수 관리 계측 기술 개발

21.[계속] 재난 시나리오(태풍, 호우, 지진) 기반 수변구조물 통합 안전관리 기술 개발

한국

수자원

공사

’13.6

’17.6

25,915

- 

2,000

5,200

6,357

9,600

2,758

[연구단] 대형화 및 노후화가 심화되고 있는 수변지역 SOC시설물 및 인근 지역에 재난(태풍, 호우 및 지진) 발생시, SOC시설물 자체는 물론 인근 거주자·시설의 실시간 안전도, 피해현황, 최적화된 피해복구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합안전관리에 관한 원천기술 및 의사결정 체계” 개발

22.[계속] 터널 시공중 디지털 맵핑을 통한 온라인 암판정 기술 및 운영모델 개발 (舊, 디지털 정보기반 터널시공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3.12

’16.12

4,494

- 

1,500

1,400

1,500

94

- 

[일반] 안전하고 경제적인 터널 시공을 위해 온라인 상에서 원격으로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한 암판정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터널시공 중 디지털 맵핑을 통한 온라인 암판정 기술 및 운영모델을 개발

23.[계속] 도시특성을 고려한 도심지 토사재해 예측․ 평가 및 통합관리 기술 개발 (舊, 도시 방재형 토사재해 회피 기술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공주

대학교 산학

협력단

’13.12

’16.6

16,202

- 

2,000

2,500

5,057

6,645

- 

[연구단] 도심지 특성을 고려한 토사재해 회피·관리를 위한 기술 및 도심지 토사재해 발생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도시 기능을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기술 도출 및 실용화

24.[계속] 사회기반시설(SOC)의 성능중심 관리, 운영을 위한 한국형 성능등급 산정 기술 개발 (舊, SOC 시설물 성능평가 기술 개발)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14.6

’16.2

5,400

- 

- 

300

2,500

2,600

- 

[일반] 국가 유지관리 예산의 효율적인 분배를 위하여 시설물별로 목표 성능을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유지관리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제반 기술 개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