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특성화대학원 2개교 신규 선정… 전문인재 배출
상태바
엔지니어링특성화대학원 2개교 신규 선정… 전문인재 배출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4.03.13 1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ENG특성화대학원, EDRC과 연계해 시너지 낼 것"
기획·설계심화과정, 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관리 등 교육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준희 기자= 엔지니어링 특성화대학원 2개교가 신규 선정될 것이란 소식에, 기획·설계능력, 프로젝트관리 기본역량 등을 갖춘 글로벌인재 양성에 대한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특성화대학원’ 2개를 신규로 선정해 향후 5년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정된 대학들은 특성화 교과과정 준비와 신입생 선발 등을 거쳐 오는 9월부터 엔지니어링 특성화 교육을 시행하게 되며, 연간 30명 내외의 엔지니어링 전문 인재를 배출하게 된다.

신설될 ‘엔지니어링 특성화 대학원’은 ▶글로벌 리더급 인재 양성 교과과정 운영 ▶우수 교수진 확충과 우수 학생 유치 ▶프로젝트 경험지식축적과 인턴쉽 등 현장경험지식 배양 등을 주요 목표로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전공별 기획·설계 심화과정, 프로젝트 파이낸싱, 리스크 관리 등 공통기반과정, 인접전공과목을 포함한 다학제 교과과정을 개설⋅운영할 방침이다.

또한, 해외 연구소·기업 경험의 우수교수를 영입하고, 산학협력 중점교수 등 현장경험을 갖춘 교수진을 확보할 계획이다. 우수학생유치를 위한 장학금도 지원한다.

이외,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국내·외 인턴쉽 프로그램을 필수학점으로 하며, 해외 연구소·기업 인턴쉽 파견을 내실화해 학생들의 글로벌 경험기회를 확대할 계회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그간 엔지니어링 업계는 프로젝트의 대형화, 기술의 융·복합화로 전공 지식은 물론 파이낸싱, 리스크관리, 팀커뮤니케이션 등 종합적인 역량을 갖춘 전문 인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뒤이어 “이번 엔지니어링 특성화대학원은 지난해 7월 산업부가 마련한 ‘고급두뇌역량 강화를 통한 산업고도화 전략’ 일환으로, 오는 5월 시작하는 엔지니어링개발연구센터(EDRC)사업과 함께 시너지효과를 낼 것이다”고 기대했다.

EDRC는 공과대학과 참여기업들로 구성된 컨소시엄 1곳 선정하여 연간 30억원 5년 지원하는 사업으로, 향후 특성화대학원과 연계한 엔지니어링 필수과정을 진행할 계획이다.

<엔지니어링 고급인재 양성사업 현황 '14 3월 기준>

분류

EDRC

엔지니어링 특성화대학원

전문대학원
(포스텍)

지원규모(‘14년)

30억원(1개)

10억원
(2개/대학당 5억)

26억(1개)

지원기간

5년(‘14∼’18)

5년(‘14∼’18)

5년(‘11∼’15)

지원분야

화공분야 중심

기계, 전기, 화공

발전, 화공, 해양, 철강, SE, PM

양성인력
(연간)

100여명 석박사
* 프로젝트참여기준

30여명(석사)

30여명(석⋅박사)

대상

대학원생

학부졸업생

재직자+학부졸업생

학위

EDRC인증서

석사

석(박)사

특징

⋅대학+기업(각5개이상)

⋅1개 주관대학

⋅1개 주관대학

⋅산학프로젝트+인턴쉽

⋅교과목+프로젝트+인턴쉽

⋅교과목+프로젝트

⋅참여대학간 교과목, 교수진 공동활용

⋅기반과목(PF,리스크관리)+전공심화(FEED)

⋅기반과목(SE, PM)+전공심화(FEED)

⋅프로젝트, 우수교수진 DB구축 및 활용

⋅프로젝트, 인턴쉽 학점 필수 반영

⋅프로젝트 논문 연계

기대효과

⋅연간 160여명 엔지니어링 고급인재 배출
⋅프로젝트 중심 공학교육 유도 (학점인정, 논문연계)
⋅엔지니어링 분야 산학협력 허브 구축

<기계분야 엔지니어링 특성화 과정 예시>

분 야

세부내용

기반 과목
(6∼9학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리스크 관리, 사업타당성분석, 계약관리), 프로젝트 파이낸싱, 안전·환경,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

전공 과목
(15∼18학점)

․(전공심화) 기계 역학, 송배전 공학 등(기계)

․(인접학문) 열공학, 진동⋅터빈공학, 공정설계 등(전기, 화공)

인턴쉽,프로젝트
(6∼9학점)

․기업⋅연구소 인턴쉽,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행

<화공분야 엔지니어링 특성화 과정 예시>

분 야

세부내용

기반 과목
(6∼9학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리스크 관리, 사업타당성분석, 계약관리), 프로젝트 파이낸싱, 안전·환경,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

전공 과목
(15∼18학점)

․(전공심화) 반응, 분리 공정, 공정합성, 화학장치 설계 (화공)
․(인접학문) 열역학, 배관공학 등(전기, 기계)

인턴쉽,프로젝트
(6∼9학점)

․기업⋅연구소 인턴쉽,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