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 지적재산권 라이센싱 및 브랜드 활용 설명회 개최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준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GE가 포괄적 협력 MOU를 맺고 향후 해양플랜트 등 산업·투자협력과 중소·중견기업의 비즈니스기회 확대지원을 하기로 합의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윤상직 산업부장관과 존 라이스 GE부회장이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만나 투자협력, 미래 성장동력 공동연구, 중소‧중견기업 역량 강화 등을 골자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박근혜 대통령과 제프리 이멜트 GE 회장간 면담 후속조치로 산업부와 GE 츠근 T/F를 구성해 그간 양측간 전면적 협력방안을 모색해 왔다.
GE의 라이스 부회장은 “해양플랜트 핵심기자재인 BOP(Blow Out Preventer)의 해외투자 입지로 한국을 우선 검토 중”이라고 강조했다.
GE 측은 “BOP는 드릴쉽의 핵심부품으로 심해에서 유정 내부의 압력 분출을 막아주는 밸브시스템이다”며, “BOP 테스트·조립·부품조달·생산 등의 과정을 한국에서 단계별로 수행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날 오후 양측은 MOU의 첫 번째 실행조치로 GE의 브랜드와 보유기술을 한국 중소‧중견기업이 활용하도록 GE 기술이전 및 라이선싱과 브랜드 활용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에는 국내 유망 중소․중견기업 100여사가 참여했고, GE는 350개 보유기술을 공개하며 지재권 라이선싱 전략 등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제공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향후 GE 보유기술을 활용해 사업화에 나서고 GE 브랜드를 활용해 글로벌마케팅에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며, “GE의 글로벌 공급망에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는 성과로 발전되어 나갈 것이다”고 기대했다.
산업부는 향후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을 창구로 3~5월 중 기술‧제품 단위의 협력프로젝트를 발굴하고, 6월중 Best Practice 성과확산대회 개최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산업부와 GE는 MOU에 따른 협의채널을 활성화해 핵심 해양 플랜트 기자재의 한국투자 등 연내 가시적인 협력 성과 창출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