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통일대비 수서발KTX 의정부 연장해야… GTX는 적극추진사업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준희 기자= 2014 신철도정책 심포지엄에서 “중장기적으로 통일시대를 대비해 수서발KTX를 의정부까지 연장해야한다”는 학계의 지적과, “향후 만주시대를 대비해 철도투자를 확대해야한다”는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의견이 개진되며 철도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은 국회도서관에서 철도업계 관계자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4 교통복지와 통일로 가는 신철도정책 심포지엄’을 주최했다.
국내 철도정책의 현 주소를 재조명하고, 신규 철도건설 정책개발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김문수 경기도지사, 새누리당 박상은 의원, 여형구 국토교통부 2차관을 비롯한 정관계인사가 대거 참석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축사를 통해 “도민 50~60%가 고민거리로 교통수단을 꼽고 있는데 문화복지는 5~7%에 그치고 있다”면서, “지대가 비싼 수도권 상황을 고려해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GTX를 추진 중에 있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뒤이어 “DMZ로 인해 섬처럼 고립된 한국이 대륙성 되찾을 수 있는 답안은 철도에 있다”며, “향후 중국 동북3성의 만주시대가 열리고,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연해주도 개발전망이 밝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국교통대학교 서광석 교수는 ‘교통복지를 위한 철도건설 정책’을 주제로 중장기 계획수립사업과 적극추진 가능사업을 중심적으로 전했다.

▼중장기계획사업… 통일대비 수서발KTX 의정부 연장해야
서 교수는 “경기북부지역 KTX 서비스를 제공하고 남북통일을 대비하기 위해 수서발 KTX를 의정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며, “경의, 경원, 내륙 동해안선 등 통일‧대륙연계철도사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뒤이어 “광주송정-순천 철도건설 사업은 고속철도 수혜지역확대, 광역권통행시간 단축, 남해안 벨트, 경전선일관 수송체계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달부터 예타조사 진행중이며, 사업비 2조원 연장길이 104㎞에 이른다.
김천-진주-거제를 잇는 남부내륙철도사업도 지난달 예타조사 진행중이다. 5조7,000억원 170.9㎞ 규모로 경제성보다 철도소외지역 복지, 중부내륙축의 연계 차원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는 해석이다.
▼적극추진사업… GTX, 여수-원주, 논산-청주공항, 월곶-판교, 인덕원-수원 등
서 교수는 “현재 예타 수행중인 GTX 3개 노선은 적극 추진해야할 사업으로 수도권 대도시 통근‧통학 문제해결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A노선 일산-수서(동탄) 46.2㎞(73.7㎞), B노선 송도-청량리 48.7㎞, 의정부-금정 45.8㎞로 구분되며, 총사업비 13조638억원으로 국고, 지방비, 민자, 광역교통개선비 등으로 재원을 분담할 예정이다.
또한, 여주-원주 복선전철사업은 B/C는 0.76에 그치지만 Missing Link사업으로 경인권과 강원권이 직결되는 만큼 추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사업비 7,000조원 연장길이 21.8km에 달하고, 복선 예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됐으며, 단선으로 예타가 재진행 중에 있다.
또한, 충청권 광역철도 논산-청주공항도 대전도시철도, 청주공항과 연계해 활성화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사업비 1,250만원 35.2㎞ 계룡-신탄진구간은 올해 상반기 예타를 신청한 상태로, 그 결과에 따라 추진될 수 있다.
월곶-판교 복선전철사업은 2조3,000만원규모 38.5㎞로 GTX 미시행시 B/C 1.04, GTX 시행시 B/C 0.89를 보이며 현재 기재부가 타당성 재조사 중에 있다. 이는 수도권 남부 동서횡단철도, GTX와는 축이 다르므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서 교수는 "인덕원-수원 복선철도는 B/C 0.95로 기재부가 타당성 재조사 중에 있다"며, "사업비는 2조1,000억원 35.6㎞로 국도 1호선 혼잡이 감소되고, GTX와 연계되면 경기 남서부지역 교통난이 완화될 것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