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SOC 투자 축소 주장 정면 반박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준희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에 대한 소신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중 건설 및 플랜트에 대한 구체적 입장을 내놓으면서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6일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후 처음 열린 기자회견 및 신년 정국구상 발표를 통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구체적 실행방안을 전하고 한반도 통일 및 지역SOC사업축소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국정기조로 추진하고 있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한 평화통일 기반 구축은 남북관계는 물론이고, 외교안보 이 전반을 아우르는 국정기조"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남북통합이 시작되면 자신의 전 재산을 다 이 한반도에 쏟겠다"는 세계적인 투자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하며 "한마디로 한반도 통일은 대박이고 우리 경제가 실제로 대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반도의 평화분위기 조성을 우선과제로 꼽고 있으며 북한의 경제 및 정치 협력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지역SOC사업 축소 비판… "4대강사업 제외하면 축소되지 않아"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자리에서 지역SOC사업의 축소조정에 대한 업계의 우려를 진화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사실 4대강 사업을 제외하면 올해 SOC사업은 축소되지 않았다. 오히려 올해 예산에 SOC 투자 규모가 23조7,000억원 정도인데 지난 5년간 평균인 23조4,000억원 보다 더 높다"며 "향후 지역공약 투자 규모도 작년보다 늘어 지역공약이 본격 추진이 되게 되면 SOC투자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최대한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특화 전략을 계획하고 있다는 점 또한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재정지원방식도 포괄보조방식으로 전환해 지역의 자율성도 더 확대시키고 또 지역 특성에 맞게 재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려한다"며 "창조경제 타운이 온라인에서 활성화 된 바 있는데, 올해는 이 창조경제의 어떤 열기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방 곳곳에 만들어 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신년 정국구상… "경제혁신 3개년 계획으로 국민행복시대 열 것"
박근혜 대통령은 기자회견에 앞서 한국 경제의 혁신과 재도약을 위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를 위해 공공기관개혁, 친환경에너지타운개발, 해외건설․플랜트 수출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코레일 사례에서 드러났듯이 많은 공공기관에서 효율성과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방만 경영과 고용세습까지 오랜 기간 이루어져왔다"며 "철도개혁을 시작으로 올해 공공부문의 정상화 개혁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의 재정부담을 대신해 4대강사업의 적자를 떠안은 수자원공사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앞으로 정부정책 또한 바로 잡을 것임을 분명히 하기도 했다.
창조경제와 관련해서는 에너지 환경분야는 미래를 대비하는 중요한 투자라는 점을 강조하며 친환경에너지 타운 건설과 해외건설ㆍ플랜트 등을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확대할 것임을 전하며 업계의 관심을 높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