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분야 아우르고, 인력관리 위한 시스템 마련 한목소리
해외건설 업체들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2일 이종진 새누리당 의원과 해외건설협회는 국회 도서관 강당에서 업계관계자 200여명 및 여야국회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해외 건설 5대강국 진입 및 일자리 창출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정규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미래전략실장과 손영진 한양대 해외건설전문가 양성과정 담당교수, 신완철 한화건설 기획실 상무가 각각 해외건설 5대 강국 진입 전략, 해외건설 현장 국내인력 진출 확대 방안, 한화건설 이라크 신도시 일자리 창출 사례 등에 대해 진행했다.
특히, 정규원 실장은 국내 엔지니어링사들이 포함된 중소 건설업체들의 경우 해외진출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를 맞춤형 정보 및 지원 등에 대한 체계가 부족한 점을 꼽으며 향후 국내 중소 엔지니어링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 포탈과 함께 전문 지원기관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손영진 교수의 경우 국내 해외 파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단절된 상황과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국가정책과 현장의 시스템과의 괴리 등을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가 나서 전문인력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 및 인력관리기구 창설, 이를 위한 국토부의 산학협력관련 자금 지원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세미나 발표 이후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도 국내 건설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거시적 해결책이 제시되기도 했다.
정창무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현재 국내 건설업계에서는 R&D 개발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필요한 것은 기술에 대한 R&D가 아니다"며 "현재 우리 건설업계를 살리기 위해서는 사업개발 및 인력개발에 대한 R&D가 절실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범위가 나누어져 있지 못해 불필요한 지원이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가 나서 이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정책을 펴야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 박민우 국장은 "업계에서 나온 문제점에 대해 정부에서도 인지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현재 역량강화 정책마련을 위한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며 "아울러 정책적 지원을 위해 실무부서와도 정책마련 협의 중에 있으며 내년에는 약 3,000억원 정도의 민간과 정부가 함께하는 기금을 조성해 정책적으로 관련 인력 및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