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엔지니어링 역량, 엔지니어링 선진화로 승화하는 것이 관건”
지난 정부 지식경제부 산하 ‘엔지니어링플랜트’ 단위로 함께 관리됐던 엔지니어링과 플랜트의 주무부처가 각각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창의산업정책과’와 ‘조선해양플랜트과’로 나뉘게 됐다.
26일 산업부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주무부처가 1차관 산업기반실 창의산업정책국 창의산업정책과로 정해지고, 플랜트는 산업정책실 시스템산업정책국 조선해양플랜트과에서 해양플랜트와 함께 관리된다고 밝혔다.
지난 23일 국무회의에서 산업부는 정부 조직법 관련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의결되고, 관보에 게재돼 시행되면서 내부 직제를 확정했다.
산업부는 지경부 시절 2차관, 6실, 18관, 1단, 63과 6팀으로 돼 있던 조직을 2차관, 1차관보, 6실, 2국, 2심의관, 18관, 2단, 71과로 개편했다.
1차관은 기획조정실, 무역투자실, 산업정책실, 산업기반실을 관리하고, 2차관은 에너지자원실, 통상교섭실(교섭대표), 통상차관보를 담당한다.
산업부 대변인실 김선기 홍보지원팀장은 “내부 직제 확정에 따라 김재홍 1차관과 한진현 2차관 등 일부 실국장들이 정해졌다”면서도 “다음 달은 돼야 구체적인 국과장급 인사재편이 완료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직개편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지난 정부 ‘엔지니어링플랜트’ 단위로 함께 관리됐던 엔지니어링과 플랜트의 주무부처가 각각 ‘창의산업정책과’와 ‘조선해양플랜트과’로 나뉘게 됐다는 점이다.
그러나 내심 엔지니어링플랜트과로 승격돼 플랜트산업 육성을 기대했던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다소 혼란스런 모양새다.
지난 해 10월 지경부 국감에서 지식경제위원회 민주통합당 노영민 의원은 “해외플랜트 수주액이 650억달러에 달해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 주력산업 각각의 수출액을 능가했다”며 “아직 선진화할 여지가 남아있는 해외플랜트의 수주지원 강화차원에서 엔지니어링플랜트 팀을 과로 승격시켜야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산업부는 이번 정부조직 개편에서 해수부와 조선·해양플랜트산업 육성기능 이관 문제로 힘겨루기를 벌인 끝에 시스템산업정책국에 조선·해양플랜트과를 신설했다.
이와 관련해 김선기 팀장은“기계항공시스템과 엔지니어링플랜트팀에 있던 육상플랜트 영역이 조선해양플랜트과로 넘어가며 해양플랜트와 함께 관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비록 플랜트 주무부처가 엔지니어링과 다르다고 해도 산업부 1차관 산하에 함께 존재한다. 때문에 엔지니어링 중 가장 경쟁력 있는 플랜트분야에 대한 지원과 노하우를 엔지니어링 전반에 걸친 선진화로 연결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창업산업정책과 김창환 사무관은 “타 산업을 전체적으로 포괄하는 엔지니어링은 융복합 서비스산업이기에 창의산업으로 분류됐다”며 “플랜트엔지니어링 주무부처 조선해양플랜트과와 향후 더욱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플랜트분야와 엔지니어링 전반에 걸친 발전을 이끌어낼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플랜트 업계 관계자는 “해양플랜트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육상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며 “조선해양플랜트과에서 해양플랜트와 육상플랜트가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한편, 산업부는 미래창조과학부로 정보통신산업정책국, 중소기업청 등으로 중견기업정책국의 기능을 넘겨줬으나,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소속 약70명, 기획재정부 FTA대책본부 소속 20여명이 산업부로 둥지 옮겨왔다. 이로 인해 산업부 정원은 본부를 기준으로 797명에서 828명으로 늘어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