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6차 전력수급계획 화력발전 원안대로
상태바
지경부, 6차 전력수급계획 화력발전 원안대로
  • 이명주 기자
  • 승인 2013.02.22 16: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일 6차 전력수급계획 확정발표

지경부의 6차 전력수급계획이 확정됐다.

22일 지식경제부는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문승일 서율대 교수 등 11명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전력정책심의회에서 확정 통과시켰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획안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향후 15년도 중장기 전력수급 정책의 기본틀을 잡는 것으로 지난 1월 21일 관련 사업자가 선정되면서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됐다.

확정안을 살펴보면 화력발전의 경우 지난 공청회 이전에 발표된 내용안대로 12개 발전사(4개 발전자회사 + 8개 민자발전사)가 제안한 발전 설비 확대 방안이 통과됐다. 이에 따라 2015년부터 LNG 복합화력발전소를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76기의 발전설비가 건설될 예정이다.

반면, 화력발전이 원안대로 통과된 것과 달리 원자력의 경우 2차 에너지기본계획 확정시까지 건설을 유보함으로써 차기 정권에 공을 넘겼으며 조력발전의 경우 인천만 조력은 사업진척이 부진해 추진여부를 재검토 하기로 했으며 아산만은 신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지경부는 이번 계획을 위해 지역단체 및 시민단체들과 면담을 거쳐 의견을 반영했다고 밝히고 있으며 25일 최종안을 고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규 건설의향 연도별 설비규모 

연도 원자력 유연탄 LNG복합 합 계      
2013              
2014              
2015     2,425 (3기) 2,425 (3기)      
2016     2,355 (4기) 2,355 (4기)      
2017   500 (1기) 12,215          (15기) 12,715         (16기)      
2018   6,840 (9기) 3,770 (5기) 10,610         (14기)      
2019   14,000         (15기)   14,000         (15기)      
2020   10,500         (11기)   10,500         (11기)      
2021   3,000 (3기)   3,000 (3기)      
2022 2,900 (2기) 5,000 (5기)   7,900 (7기)      
2023 2,900 (2기) 5,000 (5기)   7,900 (7기)      
2024              
2025 1,500 (1기)     1,500 (1기)      
2026 1,500 (1기)     1,500 (1기)      
2027 3,000 (2기)     3,000 (2기)      
합 계 11,800          (8기)

44,840       (49기)

20,765       (27기) 

77,405        (84기)

     
 
* 1. 신재생에너지, 집단에너지, 도서 설비 제외
2.당초 의향 기준 (공기조정 설비 : 당진복합#5, 영흥#7~8, 동양파워#2, 신월성#2, 신고리#3)
【신규 건설의향 반영 내역 (단위 : MW)】 
구 분 석 탄 LNG
회사명 설비명 설비 회사명 설비명 설비
용량 용량
적 정 남동발전 영 흥 #7 870 GS EPS 당진복합 #5 950  
규 모 중부발전 #8 870 남부발전 영남복합 400
  SK건설 신 서 천 #1 500 대우건설 대우포천 #1 940
  삼성물산 #2 500 SK E&S 여주복합 950
  동양파워 NSP IPP #1 1000      
    #2 1000      
    G프로젝트#1 1000      
    #2 1000      
    동양파워 #1 1000      
    #2 1000      
  8,740 (10기) 3,240 (4기) 11,980 (14기)
불확실 동부하슬라 동부하슬라 #1 1000 서부발전 신평택3단계복합 900  
대응설비 #2 1000 현대산업개발 통영복합 #1 920
  2,000 (2기) 1,820 (2기) 3,820 (4기)
합계 10,740 5,060 15,800
(6개사, 12기) (6개사, 6기) (12개사, 18기)
* 신규화력 소요량 : 15,300MW (적정 규모 11,400MW, 불확실 대응설비 3,900MW)
* 영흥#8, 동부하슬라파워#1,2는 계통상 제약을 감안하여 발전사업 허가前에 전기위원회에서 접속설비 및 계통보강계획 승인 후 추진을 전제
【연도별 설비소요량 대비 건설의향 반영결과 비교 (단위 : MW, %)】
연도 신규 화력 소요량 신규 건설의향 (화력) 총설비
LNG 석탄 LNG 석탄
-800 -1000
2013             85,605
2014             94,192
2015             100,177
2016       당진복합#5 (950, ‘15. 12)   1,350 106,765
영남복합 (400, ‘16. 6)
2017       대우포천복합#1 (940, ‘16.10)   1,890 113,419
여주복합 (950, ‘17. 6)
2018 3기   2,400       114,197
2019         NSP IPP#1 (1000, ‘18.10) 5,740 119,991
영흥#7 (870, ‘18. 12)
영흥#8 (870, ‘19.6)
신서천#1 (500, ‘18.12)
신서천#2 (500, ‘19. 6)
NSP IPP#2 (1000, ‘19. 4)
G-프로젝트#1 (1000, ‘19. 4)
2020         G-프로젝트#2 (1000, ‘19.10) 2,000 124,433
동양파워#1 (1000, ‘19.12)
2021   1기 1,000       127,275
2022   2기 2,000   동양파워#2 (1000, ‘21. 7) 1,000 128,567
2023   2기 2,000       128,602
2024   2기 2,000       128,639
2025   1기 1,000       129,077
-130,577
2026   1기 1,000       129,719
-132,719
2027             130,495
-136,495
합계 3기 9기 11,400 3,240 8,740 11,980  
* 1. 신규 소요량 및 설비예비율의 ( )내는 신규 원전 4기를 포함하는 경우임
2. 건설화력 건설의향의 ( )내는 당해 설비의 설비용량 및 준공의향시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