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SOC 예산 위축에 상반기까지 시황 깜깜이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12.3 사태 이후 급변하고 있는 국정상황이 엔지니어링 업계에 한파로 몰아치고 있다.
19일 본지가 3일 계엄사태 이후 12월 3일부터 18일까지 건설분야 엔지니어링 신규 발주사업을 조사한 결과 예년대비 발주량이 급감했다. 정부 및 정치권의 상황이 급변함에 따라 주요 발주처들의 움직임 또한 경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12월 LH, 국가철도공단, 도로공사, 환경공단 등 주요 발주처에서 건설분야 엔지니어링 사업의 신규 발주 건수와 금액이 모두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LH의 경우 올해 엔지니어링 분야 발주량은 92억원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2년과 2023년 같은 기간 각각 411억원, 811억원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각각 77.7%, 88.7%가 급감한 수준이다.
국가철도공단은 코로나 사태로 어려움을 겪었던 2022년 당시 신규 발주량과 비교했을 때 69억원이 증가한 242억원을 발주됐으나, 작년 발주량 381억원과 비교 시 36.5%가 급감하며 체감 낙폭이 커졌다.
도로공사의 경우 지난해 72억원대 발주에서 올해는 9억원대로 87.5%가 급감했으며, 환경공단 또한 지난해 대비 84.4%가 급감한 21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발주량 감소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이뤄졌다고 입을 모으로 있다. 이에 따라 엔지니어링사들이 수립한 내년도 사업계획 역시 긴축에 초점이 맞춰진 방향으로 전면 재수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A엔지니어링사 관계자는 "주요 발주처의 발주량 급감을 살펴보면 금액적으로는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주요 발주처가 미치는 파급력은 금액과는 비교할 수 없이 크다"며 "내년 상반기까지 발주처들이 주요 사업들에 대한 입찰을 미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업체들은 내년도 사업계획이 아닌 생존 계획을 수립해야하는 상황이다"고 토로했다.
한편, 일부에서는 건설분야 엔지니어링의 한파가 내년 3분기 이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짙어지고 있다.
헌재의 탄핵 심판이 최대 내년 5월까지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적 불확정성이 최고치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경기부양책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탄핵 심판이 기각될 경우 대통령 부재에 따른 정부 조직의 안정화 단계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탄핵 심판이 인용될 경우 차기 대선 및 정부부처 인사 등 안정화가 8월 이후에나 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 상반기 재정사업들에 대한 기대감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다.
B엔지니어링사 관계자는 "탄핵 여부와는 상관없이 정부의 SOC 예산집행 시기는 내년 상반기, 최대 3분기까지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내년 하반기는 상당수 엔지니어링사들이 존폐여부에 대한 고민을 할 수밖에 없는 시기가 될 것이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