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젊은 엔지니어 유입을 위한 엔지니어링업계의 노력이 성과를 도출해야 할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3일 E&E포럼은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설계-엔지니어링산업 발전과 건설기술인 권익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제안이라는 주제로 제 4차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현주소와 해결해야 할 과제 등을 되짚어 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주제발표에서는 이상호 E&E포럼 운영위원장이 엔지니어링 산업 5대 과제와 22대 국회정책과제 제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상호 운영위원장은 "시공 중심 건설산업구조, 불합리한 대가체계와 낮은 임금 수준, 낮은 수익성과 저부가가치, 고령화와 신규 유입부족, 낮은 워라밸 수준 등 5가지 요소가 건설 엔지니어링 분야의 성장을 저해하는 동시에 신규 인력 유입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특히, 낮은 대가기준과 적정공기 미반영은 엔지니어들에 대한 낮은 임금과 워라밸에 대한 문제점을 야기시켜 젊은 엔지니어들이 건설엔지니링 산업을 기피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회-정부-엔지니어링 업계를 이을 수 있는 실질적인 기구를 만들어 지속성 있는 성과를 도출 할 수 있도록 내부적인 노력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가 신입 엔지니어 유입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자격 기준이 장애물을 만들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패널토론에 참석한 김시격 다산컨설턴트 사장은 "현재 현장에서는 초급기술자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나 자격증이 없는 초급기술자의 경우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없는 구조이다"며 "문제는 자격증 여부가 진입 장벽 역할을 하면서 건설엔지니어링 분야에 대해 관심이 낮은 젊은 기술자들의 진입율을 더욱 낮추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치권 및 정부가 나서 이에 대한 제도개선 노력을 보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발주처의 갑질에 가까운 일방적인 공기 설정이 건설산업 종사자의 워라밸을 깨뜨리는 원인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승헌 연세대 교수는 "현재 국내 사업들의 경우 공사기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이에 발주처가 공기 단축 등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며 "문제는 건설관련 업체들이 이를 맞추기 위해 엔지니어들의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계약당시부터 이에 대한 문제점을 명문화해 발주처가 무리한 요구를 할 수 없게 해야만 잘못된 처우 문제를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 "이와 같은 문제를 건설분야 내부에서만 외칠 것이 아니라 정치권-정부 등과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일반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만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영업에 의존해서 먹고 살겠다는 심산이니 사양산업으로 전락하는거다
생태계 교란종 발주처 OB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