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도시재생전략계획, 안전문제 고민은 '행방불명'
상태바
서울시의 도시재생전략계획, 안전문제 고민은 '행방불명'
  • 이명주 기자
  • 승인 2024.06.05 1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서울시가 추진 중인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대해 안전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5일 서울시는 2030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에 대한 공청회를 진행했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 2월 수립된 2030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대한 일환으로 진행된 공청회로 서울시는 균형 발전 및 도시재생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고 전했다.

공청회에서는 서남권 경제거점 재탄생을 위한 김포공항 일대 106만㎡에 대한 도시재생 계획과 남산 일대 329만㎡ 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계획이 발표됐다.

서울시는 김포공항 일대 도시재생을 위해 항공국제업무, 항공벤처 등 혁신산업 유치를 위한 개발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남산 일대 재생계획의 경우 관광 및 보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곤돌라설치 및 여가공간 마련 등을 위한 준비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오는 9월부터는 지구단위 계획을 공식화함으로써 관련 계획을 구체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의 도시재생전략계획에 안전문제가 빠져 있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 필요성도 시급해지고 있다.

공청회 토론 패널로 참석한 한봉호 서울시립대 교수는 "이번 서울시의 계획을 살펴보면 시민의 안전문제와 관련이 있는 보존에 대한 계획이 빠져있다"며 "유럽 등 선진국의 경우 개발을 진행할 때 안전 및 환경에 대한 대책이 병행 수립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서울시의 계획에는 이러한 문제가 반영되지 못했다. 이는 대부분 사후계획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해제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됐다.

서울시는 구로 2동과 독산 2동에 대해 관련 지자체가 추진 중인 재개발 사업과의 중첩을 이유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해제 조치를 단행했다.

김지엽 성균관대 교수는 "더 큰 범위인 재생활성화 특별법에도 정비사업이 포함되어 있어 굳이 관련 지역에 대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해제 조치 필요성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며 "문제는 향후 다른 지자체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해제에 대한 요구가 이어질 경우 서울시가 난처한 상황에 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